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세이브는 뭐지?", "퍼펙트게임이 그렇게 대단해?" 이런 생각 드신 적 있나요?
야구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가장 많이 나오는 투수 기록들을 쉽고 자세하게 정리했습니다.
이 글 하나면 야구 중계 이해, 야구 토크 참여, 직관 꿀잼 업까지 전부 해결됩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볼게요.
야구 투수 기록 핵심 요약표
용어 | 정의 | 주요조건 | 주로 기록하는 투수 | 팀 승리 필요 | 무실점 |
승리투수 | 팀 승리에 가장 기여한 투수 | 선발은 5이닝 이상 던지고 리드 유지 | 선발/구원 | 필요 | X |
홀드 | 리드를 유지하고 다음 투수에게 넘긴 투수 | 세이브 조건 충족, 경기 중 교체 | 중간계투 | 필요 | X |
세이브 | 마지막까지 리드를 지키고 마무리한 투수 | 3점 차 이내 1이닝 이상 또는 위기상황 투입 | 마무리투수 | 필요 | X |
완투 | 선발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던짐 | 구원 없이 끝까지 투구 | 선발투수 | 불필요 | X |
완봉 | 전 이닝을 무실점으로 혼자 던짐 | 상대팀 무득점, 전 이닝 투구 | 선발투수 | 필요 | O |
퍼펙트게임 | 단 한 명의 타자도 출루시키지 않음 | 27타자 연속 아웃, 출루 제로, 완투 | 선발투수 | 필요 | O |
승리투수
▪ 정의: 경기에서 팀이 이겼을 때, 그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투수
▪ 조건
- 선발일 경우 5이닝 이상 던져야 하며, 마운드를 내려간 뒤에도 리드를 유지해야 함.
- 중간계투가 승부를 결정지으면 중간계투가 승리투수가 될 수 있음
예시: 선발투수가 6이닝 무실점 후 내려가고 팀이 계속 이겨서 끝났다면 → 승리투수!
홀드
▪ 정의: 리드 상황에서 등판해 리드를 유지하고, 다음 투수에게 넘긴 중간계투의 기록
▪ 조건
- 세이브 조건 충족 상황에서 투입
- 동점/역전 허용 없이 이닝 종료
- 세이브/승/패 기록자는 제외
예시: 8회 2점차 상황, 1이닝 실점 없이 막고 마무리에게 넘겼다면 → 홀드 기록!
세이브
▪ 정의: 팀이 앞서는 상황에서 마지막 투수가 리드를 지키며 경기를 마무리했을 때
▪ 조건
- 3점 차 이내 1이닝 이상 or 위기 상황 투입
- 팀의마지막 투수여야 함.
예시: 9회 2점차 상황에서 마무리투수가 실점 없이 막고 승리 → 세이브 기록!
완투
정의: 선발투수가 경기 시작부터 끝까지 교체 없이 혼자 던진 경우
특징: 실점 여부는 관계없고, 콜드게임도 완투 인정!
예시: 9이닝 동안 혼자 던진 선발 → 완투 기록!
완봉
정의: 상대 팀에게 한 점도 허용하지 않고, 혼자 끝까지 던진 경기
조건: 실점 제로 + 전 이닝 투구
예시: 9이닝 무실점으로 승리한 선발 → 완봉 + 완투!
퍼펙트 게임(Perfect Game)
정의: 9이닝 동안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고 27타자를 모두 아웃시키는 경기
조건
- 안타, 볼넷, 실책, 몸에 맞는 볼 전부 허용 X
- 선발이 끝까지 던져야 하며 팀은 반드시 승리
퍼펙트게임은 노히트노런보다 훨씬 어렵고 드문 기록입니다!
퍼펙트게임 vs 노히트노런 비교
구분 | 퍼펙트게임 | 노히트노런 |
출루 허용 | 전혀 안 됨 | 안타만 허용 X, 볼넷 등은 OK |
조건 | 27타자 연속 아웃, 무출루 + 무실점 | 9이닝 동안 안타 없이 무실점 |
난이도 | 최고 난이도 | 퍼펙트게임보다는 쉬움 |
최신 이슈 – 2025년 KBO 팀 노히트노런 달성!
2025년 4월 15일, LG 트윈스가 삼성 라이온즈 상대로 노히트노런 달성!
투수 | 기록 |
에르난데스 (선발) | 6이닝 무실점, 무피안타, 9K |
김진성 – 박명근 – 장현식 | 무실점 릴레이 계투 |
결과 | LG 3 – 0 승리 |
이 기록은 KBO 리그 역대 네 번째 ‘팀 노히트노런’입니다!
퀄리티 스타트(QS)
정의: 선발투수가 6이닝 이상 던지고 3자책점 이하로 막은 경기
의미: 선발투수의 '기본 이상' 활약을 의미하는 중요한 지표
예시: 선발 A 선수가 6이닝 3실점 (모두 자책) → 퀄리티스타트 기록 O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QS+)
정의: 선발투수가 7이닝 이상 던지고 2자책점 이하일 때 기록
의미: 단순 QS보다 더 높은 수준의 호투 지표
예시: 선발 B 선수가 7이닝 2실점 → QS+ 인정!
→ QS+는 에이스급 투수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방어율(ERA, Earned Run Average)
정의: 투수가 9이닝을 던졌다고 가정할 때 몇 점을 자책점으로 허용했는지를 수치화한 것
계산법: (자책점 ÷ 이닝 수) × 9
예시: 총 30이닝 던졌고 10자책점 → (10 ÷ 30) × 9 = 3.00 ERA
→ 수치가 낮을수록 좋은 투수
WHIP
정의: 이닝당 몇 명의 타자를 출루시켰는지 나타내는 수치
의미: 투수의 경기 운용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
계산법: (피안타 + 볼넷) ÷ 이닝 수
예시: 피안타 20, 볼넷 10, 총 30이닝 → (20+10) ÷ 30 = 1.00 WHIP
👉 1.00 이하 WHIP = 리그 최고 수준의 투수!
피안타율(Batting Average Against)
정의: 투수를 상대로 타자가 안타를 얼마나 쳤는지를 비율로 표시한 수치
계산법: 피안타 ÷ 상대 타자 타수
예시: 상대 타자 100타수 중 20안타 → .200 피안타율
→ .200 이하 = 타자가 거의 못 쳤다는 뜻!
자책점과 비자책점 차이
구분 | 설명 |
자책점 | 투수의 실수나 정상적인 플레이로 실점한 점수 |
비자책점 | 야수의 실책, 포구 실수 등 투수 책임이 아닌 실점 |
예시: 2사 후 실책으로 주자가 출루 → 다음 타자가 홈런 → 이 홈런은 비자책점
❗ 방어율에는 자책점만 반영되고, 비자책점은 반영되지 않음
👉 야구 규칙 기초부터 배우기 – 초보자를 위한 룰 가이드
야구 초보(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규칙과 관전 꿀팁 (KBO 기준)
야구가 처음이라 어렵게 느껴지셨나요? 걱정 마세요! 이 글 하나면 야구의 기본 규칙부터 KBO 리그 관전 꿀팁까지 한 번에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경기를 즐길 수 있어요. 야구의 기본 규칙: 이
lottomomwebsite.com
블로그 즐겨찾기 추가하면, 다음 야구 경기부터는 해설 없이도 이해 100% 가능!
지금 바로 야구 고수가 되어보세요!!
'알고있으면 좋은 정보 >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자관련 야구용어] 타율, OPS, WAR, 백투백홈런까지 한 번에 쉽게 배우기! (0) | 2025.04.21 |
---|---|
2025 어린이날 KBO 야구장 행사&예매 총정리,가족나들이 추천! (2) | 2025.04.15 |
투수가 던지는 공(패스트볼부터 너클볼)의 종류 총정리! 야구 보는 재미 200% 증가 (1) | 2025.04.08 |
야구 초보(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규칙과 관전 꿀팁 (KBO 기준) (0) | 2025.04.08 |
LG 트윈스 개막 7연승 대기록! 3월30일 창원 NC파크 경기 취소…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