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더 강화된 혜택으로 돌아옵니다. 기여금 지급 조건이 개선되고, 중도 해지 혜택 및 부분 인출 서비스까지 도입되며 유연한 금융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기여금 확대 – 더 많은 납입, 더 많은 지원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변화는 모든 소득 구간에서 납입 한도까지 기여금을 매칭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에는 소득 구간에 따라 제한적으로 기여금이 매칭되었지만, 이제는 가입자가 납입하는 만큼 혜택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 혜나씨의 상황
혜나씨는 개인 소득이 연 2,400만 원 이하로, 월 70만 원을 납입합니다.
기존에는 매칭 한도가 월 40만 원까지만 적용되어 기여금도 제한되었습니다.
2025년부터는 월 70만 원 전액에 대해 기여금을 매칭해, 초과분 30만 원에도 3% 기여금이 적용됩니다.
혜나씨가 받는 기여금 계산
기존 기여금: 월 40만 원 x 3% = 12,000원
변경 후 기여금: 월 70만 원 x 3% = 33,000원
결과: 혜나씨는 매월 21,000원의 추가 기여금을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만기 시 최대 60만 원까지 수령 금액이 증가하고, 연 최대 9.54%의 수익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2. 중도 해지 혜택 도입 - 더 유연한 금융 상품
기존에는 만기까지 유지해야만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 해지를 하더라도 일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유지 후: 기여금 일부 수령 + 비과세 혜택 유지 가능
가입자 혜택: 예상치 못한 자금 필요 시 더 유연한 대응 가능
-민우 씨의 상황
민우 씨는 월 50만 원을 3년 동안 납입한 후 갑작스러운 결혼 준비로 자금이 필요해 중도 해지를 결정했습니다.
2025년 이전이라면 모든 기여금을 반환하고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없었겠지만, 이제는 일부 기여금을 수령하고 비과세 혜택을 유지합니다.
3.신용 점수 상승 혜택 - 금융 신뢰도 향상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면서 개인 신용 점수도 상승하는 새로운 혜택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금융 생활을 더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돕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조건: 2년 이상 가입 유지 800만 원 이상 납입
- 수연씨의 상황
수연씨는 청년도약계좌에 2년 동안 총 1,000만 원을 납입했습니다. 기존 신용 점수가 700점이었다면, 자동으로 5~10점 상승해 710~715점으로 개선됩니다.
수연 씨는 이후 대출을 받을 때 더 낮은 이자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4.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 – 자금 활용 편리성 강화
2025년 하반기부터 부분 인출 서비스가 시행됩니다. 이는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한 가입자가 납입 원금의 최대 40%를 인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지훈씨의 상황
지훈씨는 월 6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하여 총 1,440만 원을 계좌에 유지하고 있습니다. 급하게 자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576만 원(납입 원금의 40%)까지 인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금융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도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5.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및 방법 - 모바일도 간편하게
신청 자격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산정에서 제외)
소득 요건
개인 소득 기준: 연 6,0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변경된 가구 소득 기준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원) 기준 중위소득 250% (원)
가구원수 | 기준 중위소득(원) | 기준 중위소득 250% (원) |
1 | 2,392,013 | 5,980,033 |
2 | 3,932,658 | 9,831,645 |
3 | 5,070,020 | 12,675,050 |
4 | 6,097,773 | 15,244,433 |
5 | 7,092,739 | 17,731,848 |
6 | 8,063,353 | 20,158,383 |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발표 자료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취급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본인의 소득 조건을 확인합니다.
취급 은행 모바일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메뉴를 선택합니다.
간단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가입 신청을 완료합니다.
협약은행 :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NH농협,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은행)
유의 사항:
납입 금액 설정: 개인 재정 상황에 맞춰 납입 금액 조정 더 자세한 정보는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 청년금융컨설팅
안녕하세요. 고객님 어떤 서비스를 찾고 계신가요?
ylaccount.kinfa.or.kr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더 많은 자산 형성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계속 개선되고 있습니다. 기존 가입자들도 걱정하지 말고 개선된 혜택을 통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새로운 혜택을 충분히 활용해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해 보세요!
또 다른 청년정책도 확인해보세요!!
청년월세한시 특별지원 신청자격,신청기간,신청방법 총정리
2025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은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청년 무주택자가 부모님과 별도로 거주하며,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된 지원 제도
lottomomwebsite.com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제도 개편사항,지원대상,신청방법 총정리(2000년생 포함)
경기도는 2025년 하반기부터 청년기본소득 제도를 대폭 개편하여 시행합니다. 이번 개편은 청년들의 소비 다양성을 보장하고,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특히 사용 지역
lottomomwebsite.com
'알고있으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부터 코스트코 회원권 연회비 인상 (0) | 2025.02.04 |
---|---|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과 붙이는 시간,떼는 시간 알아보기 (0) | 2025.02.03 |
청년 구직자 면접정장 무료 대여 서비스 신청대상,내용,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5.01.12 |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기간 연장!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1) | 2025.01.11 |
차량 소화기 보관위치,사용법 단계별로 알아보기!! (0) | 2025.01.08 |